민족종교 연구의 회고와 과제課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5 18:11
본문
Download : 민족종교 연구의 회고와 과제.hwp
그후 민족종교를 민중운동으로 보려는 여러 연구자들에게 방향을 제시하였다고 볼 수 있따 그러나 민중운동에 중점을 둠으로써 상대적으로 동양적 전통사상과의 연속성의 측면이 소홀히 다루어진 느낌이 든다. 이 시기의 특징은 한국 사회에 있어 `민중`, `민족`이 강조되면서 민족종교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도 사회변혁사상이나 민중사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는 점을 들 수 있따 또한 동학·원불교·증산교 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많은 연구 업적들이 발표되었다. 또 연구자 층에 있어서도 젊은 연구자들의 가세로 연구층이 두터워진 것도 고무적인 현상이라고 말할 수 있따 이 시기의 주요 논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 김홍철, `수운·증산·소태산의 儒·佛·仙 三敎觀`
이 논문은 儒·佛·仙 三敎一致 사상이 우리 歷史(역사)를 통하여 면면히 이어져 나온 사상이라는 점을 주장하고, 이러한 사상적 전통을 이어 받아 수운의 천도교, 증산의 증산교, 소태산의 원불교가 탄생한 것이라고 주장한다.설명
Download : 민족종교 연구의 회고와 과제.hwp( 53 )






1. 1980년대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이전까지의 연구업적을 근간으로 한,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연구업적들이 발표되었다.
1) 황선명, {민중종교운동사}
이 책은 민중운동에 있어서 종교의 역할을 규명하고 있따 고통과 구원 그리고 광기, 천년왕국사상 등을 자세히 설명(說明)하고 남북아메리카나 아세아의 제3세계에 있어서 민중운동과 종교사상 간의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설득력 있게 설명(說明)하고 있따 또한 한국사회에 있어서 변혁기의 민중종교동향, 신앙운동으로서의 서학과 동학, 개화기 이후의 신앙운동 등 민중종교운동 전반에 걸치는 중요事例(사례)를 들어 그 발생배경 및 진행과정 그리고 미친 influence(영향) 등을 분석하고 있따
이 책은 80년대 한국지식층의 주요한 관심사였던 민중운동의 시각에서, 그것도 종교사에서 흔히 나타나는 보편적 현상의 하나로서 민족종교에 접근하였다는 특징을 지닌다. 수운은 天道를 내세워 삼교일치를 이루어 내었으며, 증산은 仙을 우위로 하여 삼교…(省略)
민족종교연구의회고와과제課題
민족종교 연구의 역사적 흐름을 고찰하여 앞으로 민족종교 연구의 과제를 기술한 리포트입니다. 민족종교연구의회고와과제 , 민족종교 연구의 회고와 과제인문사회레포트 ,
민족종교 연구의 회고와 과제課題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민족종교 연구의 역싸적 흐름을 고찰하여 앞으로 민족종교 연구의 과제課題를 기술한 리포트입니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