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왕의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Servant leadership)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10 18:08
본문
Download : 세종대왕의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Servant leadership).hwp
세종대왕의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Servant leadership)
Download : 세종대왕의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Servant leadership).hwp( 51 )
세종대왕의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Servant leadership)
세종대왕의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Servant leadership) , 세종대왕의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Servant leadership)인문사회레포트 , 세종대왕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 Servant leadership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순서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세종대왕,리더십과,서번트,리더십,Servant,leadership,인문사회,레포트
◎ 세종대왕의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Servant leadership)
세종대왕을 리더십의 창으로 보는 순간 새로운 면모를 만나게 된다 서구에서 발전되고 체계화된 리더십theory(이론)들이 거의 대부분 세종에게서 발견될 뿐 아니라 우리마음에 꼭 맞는 독특한 정신과 instance(사례)들이 발견되기 때문일것이다
그의 리더십을 키워드형태로 정리(整理) 해 보면 다음과 같다. ‘백성이 나라의 근본이고 백성은 먹는 것을 하늘로 삼는다’ 이것은 백성을 위한다는 위민, 백성을 사랑한다는 애민과도 다른 백성이 근본이라는 민본으로의 “중심이동” 선언이다. 지적 리더십은 세종의 힘 중의 하나이다. 축적되지 않고 소통되지 않는 지식, 확장되지 않는 지식은 단편으로 끝나고 자신만의 만족에 그쳐버리게 될 텐데 세종은 이것을 현명하게 이루어 냈다.
둘째, 명(命)은 민본에 기초한 소명리더십이다. 세종은 그 스스로 수준 높은 학문을 갖추었고 왕이 되기 전에 부왕태종…(투비컨티뉴드 )
다. 그리고 세종대왕은 선언한다. 그런데 이 창의경영의 출발은 ‘백성을 어여삐 여기는 어진 마음’에서 출발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따 절박한 필요가 자신이 아니라 자신이 책임진 백성에게서 나온다는 것은 어질지 못하거나 감수성이 없는 마음에서는 나오기 어려운 것이기 때문일것이다
넷째, 통(通)은 소통리더십이다. 그 선언에 따라 자신은 “하늘을 대신하여 만물을 다스리는 위임받 은 자”라는 소명의식이 비전실현의 근간을 이루고 있따
셋째, 창(創)은 창의리더십이다. 스스로 엄청난 분량의 공부를 하고, 집현전을 통해 통합적 지식을 축적해낸다.
첫째, 지(知)는 지적 리더십이다. 대표적인 것이 훈민정음이다. 지금 ‘왕이 된 내가 해야 할 일이 무엇이고 하늘이 나에게 부여한 임무는 무엇인가’를 깊이 생각한다. 그리고 경연이라는 독특한 공동학습program과 정례회의를 통해 지식을 확장한다. 그 외에도 수많은 발명품, 실용적 기구들, 실용서적으로는 의방유취, 농사직설, 삼강행실 같은 실용 매뉴얼들이 있는데 이러한 결과물들은 모두 창의경영의 성과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