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 한국의 산맥(권혁재) 논문 요약 (A+data(資料))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0-06 23:28
본문
Download : 권혁재요약.hwp
동경제국대학 지질학과 교수였던 고바야시는 강릉~서울간의 한반도 중부지방이 2윤회성 지형으로 이루어졌다고 주장했다. 고바야시의 이러한 연구내용은 독일 지리학자 라우텐자흐(H. Lautensach)의 산맥지도에도 반영되어 있다. 라우텐자흐는 한반도가 태백산맥과 함경산맥을 축으로 하는 두 개의 비대칭적 경동지형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확인했고, 태백산맥과 낭림산맥은 한반도의 척량산맥으로서 하나로 이어지는 것으로 보고 이를 한국주산맥 이라고 명명했다.
[지리] 한국의 산맥(권혁재) 논문 요약 (A+data(資料))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설명
Download : 권혁재요약.hwp( 12 )
한반도의 산맥체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위평탄면에 대해 우선 알아볼 필요가 있다.
유용하게 쓰세요^^
권혁재의 [한국의 산맥] 논문을 A4 2매 분량으로
권혁재의 [한국의 산맥] 논문을 A4 2매 분량으로 한글파일로 요약하였으며 A+을 받았습니다.
짜깁기 절대아니고 제가 직접 손수 자필로 레포트(report) 쓴 것을 한글파일로 올린겁니다. 그러나 그는 중국(中國)방향과 랴오뚱방향의 산맥을 인정하지 않았다.
중략
중략
한글파일로 요약하였으며 A+을 받았습니다.
순서
한국의산맥,권혁재,논문요약,


다. 유용하게 쓰세요^^ 짜깁기 절대아니고 제가 직접 손수 자필로 레포트 쓴 것을 한글파일로 올린겁니다. 고위평탄면과 저위평탄면의 concept(개념)은 오늘날 한반도 전체에 적용되는 것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지형을 설명(說明)할 때 자주 introduction된다된다.